명리학은 나의 힘/명리학 기본이론 - 열 개의 천간

천간(天干)의 합(合) - 두 번째

미래 디자이너 2025. 1. 13. 21:53

이야기 처럼 읽고 

 

누구나 자신의 인생을 디자인할 수 있는 날을 꿈꿉니다.

 

혹시 아래의 그림이 생각나세요~??

 

 

갑기합(甲己合)에서 달려와서 기(己)토에게 달려갔던

 

갑(甲)목이 토로 화(化)하는 것 말입니다. 

 

기(己)토에서 순행을 하므로써 경(庚)금으로 이동하고

 

경(庚)금이 마주 상대하는 을(乙)목, 병(丙)화중에 을(乙)목을 향하므로

 

을경합(乙庚合)으로 화(化)하며 화(化)한 오행은

 

갑기합(甲己合)의 토(土)를 시작으로

 

토생금(土生金)이 되어 금(金)으로 화(化)한다는 이야기까지 했었습니다. 

 

[명리학 기본이론] - 천간(天干)의 합(合) - 1

 

천간(天干)의 합(合) - 1

이야기처럼 읽고  스스로의 미래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꿈꿉니다.  초보자가 소설책처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쓰려고 생각중입니다.    천간의 10가지에 대해 이야기

design-yourlife.tistory.com

아예 한 번 읽어보고 오시는 것 추천드립니다. 

 

을(乙)목으로 달려갔던 경(庚)금은 을(乙)목에서 순행합니다. 

 

을(乙)목에서 순행하면 병(丙)화가 있습니다. 

 

 

병(丙)화는 금(金)과 수(水)를 상대합니다. 

 

금(金)에서는 신금(辛金)과 수(水)에서는 임수(壬水)를 상대하죠.

 

양간인 병(丙)화는 당연히 음간인 신금(辛金)을 향해 달려가고

 

토생금(土生金)이었던 경금(庚金)은

 

병화(丙火)에서 금생수(金生水)로 순행하며 수(水)로 화(化)합니다.

 

이제 신금(辛金)까지 왔습니다. 

 

신금(辛金)에서 순행하면 임수(壬水)가 있습니다. 

 

 

임수(壬水)는 마찬가지로

 

양간(陽干)인 무토(戊土)와 음간(陰干)인 정화(丁火)를 상대합니다. 

 

당연히 양간(陽干)인 임수(壬水) 음간(陰干)인 정화(丁火)를 향합니다.

 

그렇게 흘러갑니다. 

 

금생수(金生水)에서 순행하여 수생목(水生木)으로 화해서

 

정임합목(丁壬合木)으로 화(化)하게 되는 것입니다.

 

음간(陰干)인 정화(丁火)에서 또다시 순행하며

 

양간(陽干)인 무토(戊土)로 흘러갑니다. 

 

양간(陽干)인 무토(戊土)는 

 

양간(陽干)인 갑목(甲木)과 음간(陰干)인 계수(癸水)를 상대합니다. 

 

당연히 음간(陰干)인 계수(癸水)를 향하게 되구요..

 

그렇게 흘러가며 무계합(戊癸合)을 합니다. 

 

이젠 무계합(戊癸合)이 화(化)해서 무엇이 되는지 아시죠~??

 

바로 화(火) 입니다. 

 

그렇게 흘러가는 것이 천간의 합입니다. 

 

천간의 합은

 

양간(陽干)에서 출발하여

 

여섯번째에 있는 음간(陰干)과 합을 하기에

 

육합(六合)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천간의 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도식화 해서 설명하는 글을 올려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