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은 나의 힘/명리학 기본이론 - 음양 오행

오행이야기 1 - 목(木)

미래 디자이너 2025. 1. 8. 10:25

오늘은 오행 중 목(木)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목이라... 목이라~?

 

목을 공부하기 전에 음양과 오행에 대해 다시 한 번 읽어보실 분은 아래를 참고바랍니다. 

 

[명리학 기본이론] - 음양이란 ?

[명리학 기본이론] -  오행이란? 

 

그러면 목에 대해 본격적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나무 위키에서 설명하는 목

나무 목 부수의 제부수 한자... 스스로 부수가 되는 한자라는 말입니다.

스스로도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자네요 ^^

하지만 명리학에서의 목은 아직 더 자라야 하는 새싹입니다.

천간에서는 시작을 알리는 갑(甲)과 을(乙)을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인(寅)과 묘(卯)를 배속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다시 보시겠습니다.

목은 간단히 말씀드리면,

계절로는 봄, 방향은 동쪽 방향을 나타내며,

하루에서는 동트는 아침, 새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숫자는 3과 8을 나타내며, 오행중에서는 어질 인(仁)을 나타내며,

신체의 장기중에서는 담과 간을 의미합니다.

사람으로 따지면 어린아이 일 때를 의미 합니다.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봄... 왜 봄일까요~??

목은 그 자체로

위로 솟아 오르려는 기운을 품고 있습니다.

언제 위로 솟아오를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봄 입니다.

겨우내 움츠리고 있던 새싹들이 날이 따뜻해지니 꽃을 먼저 피우는 나무, 줄기를 쭉~쭉 키우는 나무...

어느 것 하나 다를 바 없이 싹을 틔우고 잎을 키우고, 꽃을 피웁니다.

소나무 그림을 그리다 보면 봄의 잎과 여름의 잎, 겨울의 잎을 그릴 때 색을 다르게 씁니다.

여름에서 겨울로 가면 수감을 많이 넣고, 봄에는 황태색을 더 많이 넣습니다. 그림이야기는 다음에....

새해에도 마찬가지지만 봄이 되면 나무 뿐이 아니라 동물, 사람 모두 꿈을 꾸죠

새로운 희망을 품는다는 말입니다.

식물들은 꽃을 피워서 수분을 하고 가을에 맺을 열매를 달기 시작하는 계절...

새들을 비롯한 동물들은 봄이되면 둥지를 틀고 짝짓기를 하죠~

사람인들 다를까요~??

날도 따뜻해 졌으니, 운동도 열심히 하겠다고 다짐을 하고...

꽃집에 가서 예쁜 화분을 사서 잘 키워보겠다고 다짐을 하며

집을 꾸미고 대청소를 하죠....

봄과 닮은 방향은 어디일까요~??

물으나 마나 동쪽이죠~^^ 해가 떠오르는 쪽~!!!

그리고 해가 뜨는 시각은 새벽녘~ 그래서 목에 새벽과 동쪽과 봄을 배속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렇게 시작하는 의미에서 사람으로 따지면 어린아이, 유년을 나타내구요.

뭐 없어도 신나게 뛰어놀고

에너지가 솟구치죠~

몇 해전 심권호 선수가 어린아이랑 놀아주다 먼저 지치던 모습의 광고

기운이 끊임없이 솟구치는 어린아이이니...

해가 솟아오르는 모습, 싹이 터오르는 모습과 같지 않나요~??

 

숫자... 는 하도(河圖) 와 낙서(洛書)에서 부터 유래 되었으니.. 여기에서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왼쪽(동쪽)방향

백색점으로 3, 흑색 점으로 8이 있습니다.

어질 인(仁)을 배속했냐구요~??

봄이 되고 날이 따뜻해지니 마음도 너그러워 집니다.

한 겨울의 추위는 간간히 남아있으나, 한여름의 땡볕이 오기 전이니 춥지도 덥지도 않습니다.

씨앗을 심을 생각하니 수확할 때를 기대하며 행복해 하죠

봄이 되니 마음도 싱숭생숭해 집니다. 괜시레 좋은일이 생길 것 같아 행복해 집니다.

또 하나, 어린 아이한테는 혹독한 지도가 필요할까요?

아니면 너그러운 마음으로 칭찬과 기다림이 필요할까요~??

이 작은 아이 손에 모질게 할 수 있을까요~??

웃는 아이한테 인상 찌푸리고, 해로운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다 타고난 이치이고 흐름인거죠~^^

신체에서는 간과 담을 배속한다고 합니다.

물론 양목이 간을 담당하고 있는지와, 음목이 간을 담당하고 있는지,

합이 일어날 때 질병이 발생하거나 충과 형이 발생할 때 질병이 발생한다는 쪽 등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에 언급하기로 하고,

목이 담당하고 있는 부분은 간과, 담이라는 것 까지만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목의 기운을 타고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너무 길어지니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명리학  #목의 성정 #목의 기운 #목의 배속 #목이 나타내는 것

 

'명리학은 나의 힘 > 명리학 기본이론 - 음양 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이야기 3 - 토(土)  (0) 2025.01.08
오행이야기 2 - 화(火)  (2) 2025.01.08
오행이란?  (0) 2025.01.08
음양이란 ?  (0) 2025.01.08
명리학이란 ?  (0)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