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7

시주(時柱)의 오류에 관한 무거운 이야기

누구나 소설처럼 읽으며 자신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세상을 꿈꿉니다.   오늘은 조금 무거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작년 요맘때, 어떤 분이 자신의 사주를 의뢰하셨습니다.  "이제는 조금 살만해 졌는데.. 최근 한 3년 힘들었다. 내 운을 좀 보아달라~!" 물론 친분이 있는 분이라... 냉큼 알았노라 말씀드리고, 만세력을 켰습니다.  어~?? 살아온 모습이랑 조금~? 많이 다릅니다. 특히 최근의 삶의 모습은 정말 많이 다릅니다.   교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 대체의학이나 건강관련 공부를 하는 사람은 건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자신의 운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너도 그렇지 않느냐~?? " 라고 맞습니다.  지금 힘들기 때문에 묻는 것이고, 운의 흐름이 나쁘기 때문에..

천간의 합 - 세 번째

모든 사람이 명리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처럼 읽고 자신의 삶을 디자인하는 날을 꿈꿉니다.  지난 번에 천간의 합에 대해 2회차에 걸쳐 알아 보았습니다.  미리 한 번 읽고 오시면 좋습니다.  이번에는 천간의 합을 한꺼번에 정리하고자 합니다.  2025.01.11 - [명리학은 나의 힘/명리학 기본이론] - 천간(天干)의 합(合) - 1 천간(天干)의 합(合) - 1이야기처럼 읽고  스스로의 미래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꿈꿉니다.  초보자가 소설책처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쓰려고 생각중입니다.    천간의 10가지에 대해 이야기design-yourlife.tistory.com 2025.01.13 - [명리학은 나의 힘/명리학 기본이론] - 천간(天干)의 합(合) - 두 번째 천간(天干)의..

천간(天干)의 합(合) - 두 번째

이야기 처럼 읽고  누구나 자신의 인생을 디자인할 수 있는 날을 꿈꿉니다. 혹시 아래의 그림이 생각나세요~??  갑기합(甲己合)에서 달려와서 기(己)토에게 달려갔던 갑(甲)목이 토로 화(化)하는 것 말입니다.  그 기(己)토에서 순행을 하므로써 경(庚)금으로 이동하고 경(庚)금이 마주 상대하는 을(乙)목, 병(丙)화중에 을(乙)목을 향하므로 을경합(乙庚合)으로 화(化)하며 화(化)한 오행은 갑기합(甲己合)의 토(土)를 시작으로  토생금(土生金)이 되어 금(金)으로 화(化)한다는 이야기까지 했었습니다.  [명리학 기본이론] - 천간(天干)의 합(合) - 1 천간(天干)의 합(合) - 1이야기처럼 읽고  스스로의 미래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꿈꿉니다.  초보자가 소설책처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일반인 간명

2024년 기준 52세 남성 입니다.  이 사람의 운은 어떨까요~?? 좋은 시기이겠군요... 49세를 기점으로 가을 1기... 인생의 황금기에 접어들었습니다.  그동안 47~48세때 몸도 바빴고, 힘들었겠지만 지금은 그 보상을 다 받는다고 하겠군요. 직장인이라면 이 시기에는 직장에서도 인정받으면서 진급을 노리는 사람이라면 진급도 했겠군요~^^ 24년 25년이 10년주기에서도 가을이네요. 26년까지는 승승장구하겠군요~  석하명리에서는 겨울1기까지는 내실이 있는 기간이라고 봅니다.  한 단계 더 발전할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원국을 보니 재와 관이 격이네요.  재와 관이 격인 사람은 추구하는 모습이 재와 관이니... 평생을 재와 관을 추구하면서 살게 됩니다. 하지만, 추구하는 삶의 모습은 그렇지 않습니다. ..

상생상극(相生相剋)과 생극제화(生剋制化)에 관한 이야기

하... 이것까지만... 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슬슬 지루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래도 스스로의 인생을 디자인하기 위해  저부터 힘내볼까 생각합니다.   상생상극(相生相剋)과 생극제화(生剋制化)가 무엇일까요~? 상생상극(相生相剋)~??  생극제화(生剋制化)~???  이 그림으로 시작해 볼까 합니다.  왜 항상 제일 좋은 자리는 갑(甲)목이 자리 잡고 있을까요~? 명리학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무조건 갑(甲)목 부터 시작한다.  하... 갑(甲)목 일간이 제일 좋은건가~?? 한 때 고민했습니다.   이미 태어났으니... 필요없는 고민이었는데... 상생도와 상극도가 있습니다.  상생상극은 순환의 원리 입니다.  기억나지 않으시는 분은 아래 글을 읽고 오셨으면 합니다.  [명리학 기본이론] - 상..

상생상극(相生相剋)인가? 편생편극(偏生偏剋)인가?

하... 어렵지 않은 내용인데... 어렵게 풀어야 하니... 어렵습니다.  어쨌건  이야기 책을 읽듯이 글을 풀어보려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삶을 디자인 했으면 하기 때문입니다.   상생상극(相生相剋)이란 말을 참 많이 들었습니다. 상생(相生)의 도(道)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들었습니다.  상생상극(相生相剋)일까요?  편생편극(偏生偏剋)일까요~? 지구상에 상생하는 종류가 얼마나 될까요~??  겨우살이 입니다.  겨우살이는 참나무에서 나는 것을 최고로 치지만.... 그것보다는 회양목에서 자라는 것을 최고로 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회양목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는 구할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겨우살이는 상생상극(相生相剋)할까요~? 편생편극(偏生偏剋)할까요~?? 아래의 악어 사진을 한 번 보시죠~^^  ..

천간(天干)의 합(合) - 1

이야기처럼 읽고  스스로의 미래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꿈꿉니다.  초보자가 소설책처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쓰려고 생각중입니다.    천간의 10가지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으니  이제는 천간의 합에 대해 이야기할까 합니다.   먼저.... 합(合)이 좋을까요~?  충(冲)이 좋을까요~? 간명하다보면 꼭 듣는 말입니다.  합(合) 이 있으면 좋은건가요~??  충(冲) 이 있으면 나쁜건가요~?? 답은 "합이라고 좋을것도, 충이라고 나쁠것도 없다" 입니다.  위의 그림을 보아주세요.  오행(五行)에는 목, 화, 토, 금, 수 가 있죠~ 오행 이야기를 읽고 오실분은 읽고 오셔도 좋을 듯합니다. [명리학 기본이론] - 오행이란? 오행이란?오행(五行)이란?​처음에 읽었던 책에 ​"아무리 해도 ..

답설야(踏雪野)

문득, 서산대사의 유명한 시  ‘답설야(踏雪野)’가 떠올랐다.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不須胡亂行(불수호난행),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눈 덮인 들판 걸어갈 제 이리저리 함부로 걷지 마라. 오늘 내가 걸어간 자국은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누군가는 길을 만들고  누군가는 그 길을 따라 갑니다.  가장 많이 듣는 질문 하나가 "저는 돈을 언제 버나요~?" 입니다.  돈을 많이도, 적게도 아닙니다.  집을 많이 갖고 싶다는 것도 아니고 골프장 회원권을 갖고 싶다는 것도 아닙니다.  언제 돈을 버는지 만 궁금합니다.   물론 가끔 돈을 많이 버는지 묻기도 합니다.  인생 디자인이 필요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다 돈을 언제, 얼마나 버는지 궁금해 하지만... 어떻게..

지지론(地支論) - 인목(寅木)

누구나 소설처럼 편하게 읽은 후,  자신의 미래를 디자인할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열 두개의 지지론(地支論)에서 인목(寅木)을 이야기 할까 합니다.  흔히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를 이야기 합니다.   이렇게 동물로 형상화 해서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죠. 그렇다면 인목(寅木)은 누구일까요? 이 친구입니다. "다정다감하고, 온순하기 짝이 없는 동물입니다."라고 하기에는 어울리지가 않죠~? 호랑이는 시속 48Km 에서 최고속도 80Km까지 달립니다. 점프는 3미터 이상을 뛰기도 합니다.  열두개의 지지 중에서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가장 많이 뛰는 동물이 무엇일까요~? 열 두 동물은"쥐, 소, 범,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입니다. ..

천간론 - 계(癸) 수(水) 론

열심히 달리다 보니 이제 천간의 막바지에 도달했습니다.  저는 누구나 이야기 책 읽듯이 읽고 스스로의 인생을 디자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천간의 열 번째 계(癸)수(水)에 도달했습니다. 임(壬)수(水)를 쓸 때는 써야 되나 하는 생각으로 글을 쓰면서 계(癸) 수(水) 와 같이 쓰는 것까지 고민했으나.... 스스로의 생각도 정리해야 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계수(癸水)는 생명수 입니다.  생명의 원천이 어디인가요~? 계수(癸水)는 졸졸졸 시냇물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천간은 기운입니다.  강한 안으로 응축하는 힘을 통해 변화를 임(壬)수(水)에서 시작했다면 변화를 끝내고 생명을 잉태하고 있는 단계... 그 상태가 계수(癸水)입니다.   삼엽충 화석과 심해에서 살고있는 해파리 사진입니다.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