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디자이너 2025. 1. 8. 10:33

십신(十神)이란 무엇일까요~?

처음 명리학을 공부할 때 스승님께서

십신(十神)이란 명리학의 꽃이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십신(十神)이란 명리학의 꽃이 아닙니다.

이어령 비어령(耳於鈴鼻於鈴)이라고 하나요~?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란 뜻이지요~

맞습니다. 십신(十神)이 딱 그렇습니다.

내용이야 천천히 알아본다 치고 호칭부터도 십신(十神)이라고 하고, 십성(十星)이라고도 하고,

육친(六親)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육신(六神)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십신(十神)이랑, 십성(十星)이야 10가지 이니 그러려니 하겠지만

육친(六親), 육신(六神)이라니요...

육친(六親)이랑 육신(六神)은 단순하게 말씀드려서 나를 둘러싼 가족관계를 일컫는 말입니다.

부, 모, 형, 제, 처, 자 의 육친(六親)을 십신(十神)에 접목하니 육신(六神)도 되는 것입니다.

오행과 십신의 상생상극도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특정한 일간을 지칭하지 않을 경우 갑(甲)목(木)을 기준으로 설명하게 됩니다.

혹시라도 오행의 상생 상극에 대해 잘 모르실 경우 이 글을 읽기 전에

오행에 대해 한번 읽고 오심은 어떠실지요~?

 

2025.01.08 - [명리학은 나의 힘/명리학 기본이론 - 음양 오행] - 오행이란?

 

오행이란?

오행(五行)이란?​처음에 읽었던 책에 ​"아무리 해도 끝이 없어 들어가는 문은 넓은데 나오는 문이 없다" 라는 글을 읽었습니다. ​또 다른 책에서는 ​"오행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design-yourlife.tistory.com

 

♠ 비견(比肩)과 겁재(怯財) ♠

목(木)을 기준으로 하여 같은 오행일 때 비겁(比劫)이라고 말합니다.

여기에서의 비겁(比劫)은 비견(比肩)과 겁재(怯財)를 함께 부르는 용어입니다.

천간에서는 갑(甲)과 을(乙)을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인(寅)과 묘(卯)를 배속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같은 오행에 음양이 같을 경우를 비견(比肩), 다를 경우를 겁재(怯財)라고 합니다.

갑(甲)목(木)의 입장에서 갑(甲)인(寅)비견(比肩) 입니다.

음양이 다를 경우의 겁재(怯財)을(乙)묘(卯)가 있겠습니다.

♠ 식신(食神)과 상관(傷官) ♠

갑(甲)목(木)을 기준으로 하여 목(木)이 생해주는 오행을 만날경우 식상(食傷)이라고 합니다.

여기에서의 식상(食傷)식신(食神)상관(傷官)을 함께 부르는 용어입니다.

천간에서는 병(丙)화와 정(丁)화를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사(巳)화와 오(午)화를 배속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갑(甲)목(木)을 생해주는 오행에 음양이 같을 경우를 식신(食神),

음양이 다를 경우를 상관(傷官)이라고 합니다.

갑(甲)목(木)의 입장에서 병(丙)화사(巳)화식신(食神) 입니다.

음양이 다를 경우의 상관(傷官)은 오(午)화정(丁)화가 있겠습니다.

♠ 편재(偏財) 와 정재(正財) ♠

갑(甲)목(木)을 기준으로 하여 갑(甲)목(木)이 극하는 오행을 만날경우 재성(財星)이라고 합니다.

여기에서의 편재(偏財) 정재(正財)를 함께 부르는 용어입니다.

천간에서는 무(戊)토 기(己)토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진(辰)토 술(戌)토, 축(丑)토 미(未)토를 배속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갑(甲)목(木)이 극하는 오행에 음양이 같을 경우를 편재(偏財),

음양이 다를 경우를 정재(正財)라고 합니다.

갑(甲)목(木)의 입장에서 무(戊)토진(辰)토, 축(丑)토편재(偏財)입니다.

음양이 다른 기(己)토술(戌)토, 미(未)토정재(正財)가 됩니다.

♠ 편관(偏官) 과 정관(正官) ♠

갑(甲)목(木)을 기준으로 하여 갑(甲)목(木)을 극하는 오행을 만날경우 관성(官星)이라고 합니다.

관성(官星)은 무엇일까요?

여기에서의 관성은 편관(偏官) 정관(正官)을 함께 부를 때 관성이라고 부릅니다.

천간에서는 경(庚)금 신(辛)금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신(申)금 유(酉)금을 배속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갑(甲)목(木)이 극하는 오행에 음양이 같을 경우를 편관(偏官),

정관(正官)갑(甲)목(木)과 음양이 다를 경우입니다.

갑(甲)목(木)의 입장에서 경(庚)금신(申)금 편관(偏官)입니다.

음양이 다른 신(辛)금유(酉)금정관(正官) 됩니다.

♠ 편인(偏印) 와 정인(正印) ♠

갑(甲)목(木)을 기준으로 하여 갑(甲)목(木)을 생해주는 오행을 만날경우 인성(印星)이라고 합니다.

편인(偏印) 정인(正印)을 함께 인성(印星)이라고 부릅니다.

천간에서는 임(壬)수 계(癸)수 배속하고 있으며,

지지에서는 해(亥)수 자(子)수를 배속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갑(甲)목(木)이 극하는 오행에 갑(甲)목(木)과 음양이 같을 경우를 편인(偏印),

음양이 다를 경우를 정인(正印)라고 합니다.

갑(甲)목(木)의 입장에서 임(壬)수해(亥)수편인(偏印)입니다.

음양이 다른계(癸)수자(子)수정인(正印) 됩니다.


가끔 사(巳)화와 오(午)화, 해(亥)수 자(子)수의 음양에 대해 묻습니다.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의 순으로 보면

양에서 부터 시작해서 음으로 전환하는게 맞는데...

왜 사(巳)화는 양이며, 오(午)화는 음이고, 자(子)수는 음이되고 해(亥)수가 양이되는가~?

답은 지장간에 있습니다.

사(巳)화의 지장간은 무토, 경금, 병화이며,

오(午)화의 지장간은 병화, 기토, 정화 입니다.

해(亥)수와 자(子)수도 마찬가지 입니다. 직접 확인해 보세요~

지금까지 십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어령 비어령(耳於鈴鼻於鈴)이냐구요~?

십신의 해석이 바로 명리학의 꽃은 맞습니다.

단, 정확하게 해석해야 할 경우에 말입니다.

잘못하면

"남편잡아먹을 사주" 를 대표적으로 "배가 산으로 갑니다. "